지방교육행정13 지방교육행정 정보화(2) : K-에듀파인 지방교육행정 정보화에 있어 대표적 시스템 중 하나인 지방교육행. 재정정보시스템 K-에듀파인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에듀파인 시스템은 2005년 지방교육재정의 일하는 방식을 혁신하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성과기반의 재정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었습니다. 국가 재정정보화 추진배경 지방교육재정시스템인 에듀파인은 교육부 차원에서 독자적으로 추진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중앙재정과 지방재정을 아우르는 제도적 측면의 선진 국가재정체계를 구축하고, 디지털화하기 위한 계획아래 진행되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국가재정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해 「국가재정법」과 「국가회계법」을 제정하여, 기존 성질별 예산구조를 사업별 예산제도로 전환하고, 복식부기회계제도를 도입하여 종합적인 국가재정을 관리하고자 하였습니다.. 2023. 7. 6. 지방교육행정 정보화(1) : 나이스(NEIS) 정보화 시대의 진전에 따라, 2000년대부터 시도교육청을 주체로 하는 지방교육도 정보화가 급격하게 추진되었습니다. 지방교육정보화의 대표적인 정보시스템으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인 나이스(NEIS)와 지방교육행 재정시스템인 K-에듀파인 시스템 등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지방교육행정을 위한 정보시스템중 나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나이스 도입과 의미 먼저 2021년 김대중 정부의 전자정부 10대 과제 중 하나로 26개 지방교육행정영역 전체를 정보화한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은 행정정보화 측면에서 몇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먼저, 기존에는 행정정보화가 개인 PC용 업무 프로그램이 주된 것이었다면, 나이스를 통해 본격적인 웹기반의 클라이언트/.. 2023. 7. 5. 4세대 나이스 개통 : 대국민 교육행정서비스 변화와 기대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차세대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인 '4세대 지능형 나이스시스템'의 구축을 완료하고, 2023. 4월부터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시범운영을 거쳐, 2023.6.21(수) 전국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디지털 기반 교육서비스 혁신 및 행정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기존 나이스(NEIS) 시스템을 전면 재구축하는 '4세대 지능형 나이스'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28백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구축되었습니다. 그러나, 개통 후 많은 오류와 서버 등 시스템의 초기 불안정으로 많은 교육현장의 혼란을 가져왔습니다. 특히, 교원단체를 중심으로 많은 불만이 제기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하나의 새로운 교육행정정보화의 전기를 맞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4세대 나이스는 .. 2023. 7. 3. 이전 1 2 3 다음